아키타 공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키타 공항은 일본 아키타현에 위치한 공항으로, 1961년 개항하여 현재 위치로 이전한 후 1981년에 재개항했다. 2,500미터 활주로를 갖춘 일본 동북 지방 최초의 민간 공항이며, 국내선과 국제선 노선을 운항한다. 1993년 국제선 터미널 개설 이후 대한민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로의 정기편 운항이 시작되었으며, 2007년과 2013년에 각각 착륙 사고와 엔진 고장으로 인한 불시착 사고가 발생했다. 연간 이용객 수는 1997년 아키타 신칸센 개통 이후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2000년대 이후 110만 명에서 130만 명 사이를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키타현의 공항 - 오다테 노시로 공항
오다테 노시로 공항은 아키타현 북부에 위치하며 1998년에 개항하여 도쿄 하네다 공항 노선을 중심으로 운항하고, 아키타 삼나무 디자인의 터미널 건물과 지역 관광을 지원하는 미치노에키 기능을 갖춘 공항이다. - 아키타시의 교통 - 아키타 신칸센
아키타 신칸센은 도쿄와 아키타를 잇는 미니 신칸센 노선으로, E6계 전동차 '코마치'호가 운행되며 도호쿠 신칸센과 직결 운행되지만, 모리오카-아키타 구간은 지형적 제약으로 감속 운행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노선이다. - 아키타시의 교통 - 오가선
오가선은 동일본 여객철도가 아키타현의 오이와케역과 오가역을 잇는 단선 비전철화 노선으로, EV-E801계 전동차만 운행하며 아키타역까지 직통 운행하는 보통열차가 하루 15회 왕복 운행되지만, 적자 운영으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아키타시의 건축물 - 아키타 대학
아키타 대학은 1949년 여러 학교의 통합으로 설립된 일본 국립대학으로, 인문과학과 광산공학을 중심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다양한 학부와 부속기관을 운영하며, 특히 아키타 광산 전문학교의 역사를 계승하고 세 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다. - 아키타시의 건축물 - 구보타성
구보타성은 1602년 사타케 요시노부가 축성하여 구보타 번의 번청으로 사용된 성으로, 메이지 유신 이후 폐성되었으나 현재는 센슈 공원으로 조성되어 망루와 정문이 복원되어 있으며 사타케 역사자료관 등의 시설이 남아 있고 일본 100명성 중 하나이다.
아키타 공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항 이름 | 아키타 공항 |
로마자 표기 | Akita Kūkō |
영어 이름 | Akita Airport |
IATA 코드 | AXT |
ICAO 코드 | RJSK |
WMO 코드 | 47545 |
공항 유형 | 공공 |
운영 주체 | 아키타현 |
모도시 | 아키타시 |
위치 | 아키타현 아키타시 유와 쓰바키가와 |
개항일 | 1981년 6월 26일 |
운영 시간 | 7:00 - 22:00 |
웹사이트 | 아키타 공항 |
해발 고도 | 93 m |
해발 고도 (피트) | 305 ft |
활주로 | |
활주로 방향 | 10/28 |
활주로 길이 | 2,500 m |
활주로 폭 | 60 m |
활주로 표면 | 아스팔트/콘크리트 |
활주로 ILS | I |
통계 (2015년) | |
승객 수 | 1,238,082 명 |
화물 처리량 | 1,711 톤 |
항공기 운항 횟수 | 18,967 회 |
통계 (2023년도) | |
승객 수 | 1,208,568 명 |
화물 처리량 | 534 t |
이미지 | |
![]() |
2. 역사
아키타 공항은 1961년 10월 1일 아키타시 아라야 정 부근에서 제3종 공항으로 처음 개항하였다. 그러나 일본해에 인접하여 겨울철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항공기 대형화로 인해 공항 확장이 필요해짐에 따라 1981년 6월에 현재 위치로 이전하여 재개항하였다.
1981년 6월 26일 현재 위치에 개항한 아키타 공항은 일본 동북 지방 최초로 2,500m 활주로를 갖춘 민간 공항이었다.[3] 1985년에는 일본 항공자위대가 아키타 공항에 수색 및 구조 부대를 설치하여 UH-60J 및 U-125A 항공기를 운용하고 있다.[3]
구 아키타 공항은 일본해에 면해 있어 겨울에는 측풍의 영향을 받기 쉬웠고, 활주로 남쪽에 텔레비전탑이 있는 오오모리야마가 있어 제한표면 문제가 있었으며, 대형 제트기 운용에 필요한 활주로 길이 연장이 어려웠다.[9]
2. 1. 구 아키타 공항 (1961년 ~ 1981년)
1961년 10월 1일 지금의 위치가 아닌 아라야 정(新屋町) 부근에서 제3종 공항으로 개항하였다. 일본해에 접해 있어 겨울철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항공기 대형화에 따른 공항 확장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다.구 공항은 1961년 아키타시 신야 정의 오가타가와 하구 우안에 펼쳐진 해안 사구에 개항했다. 일본해에 면해 있어 겨울철 측풍의 영향을 받기 쉬웠고, 활주로 남쪽에 텔레비전탑이 있는 표고 123m의 오오모리야마가 있어 제한표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형 제트기 운용에 필요한 활주로 길이 연장이 어려웠다.[9]


구 아키타 공항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내용 |
---|---|
1960년 9월 12일 | 공항 정비 시행 승인에 따라 공사 시작 |
1961년 10월 1일 | 아키타시 신야마치 와리야마에 D급 제3종 공항으로 개항. 현재의 국도 7호선・아키타 남부 우회도로와 현도 65호 테라우치 신야 유와 선이 교차하는 미나미하마 교차로 부근에 있었다. 1,200m×30m(17/35) 활주로 사용 시작 |
1969년 3월 | 활주로 연장·확장 공사 완료. 1,500m×45m(17/35) 활주로 사용 시작[33] |
2013년 11월 26일 | 세스나기가 엔진 트러블로 활주로 흔적지에 긴급 착륙 |
2. 2. 현 아키타 공항 (1981년 ~ 현재)
1961년 10월 1일에 개항한 아키타 공항은 동해에 접해있어 겨울철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항공기 대형화에 따른 공항 확장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현재 위치로 이전하여 1981년 6월에 재개항하였다.[7] 현재의 아키타 공항은 아키타 시 중심부에서 남동쪽으로 약 20km 떨어진 가와베군 유와정(현 아키타시)의 오가타가와와 이와미가와 사이의 안양사가와 상류 구릉지에 위치한다.[8]동북지방에서 가장 먼저 2,500m 활주로를 갖춘 공항이었다. 활주로는 10/28 방향으로 2,500m이며, 전체에 걸쳐 평행 유도로가 설치되어 있다. 착륙대 폭은 300m이며, 계기 착륙을 지원한다. ILS는 활주로 28에 카테고리 I가 설치되어 있다.
활주로 서쪽 에이프런 지역(항공자위대의 아키타분둔기지)에는 1987년부터 항공구난부대로서 수색구난 제트(U-125A)와 구난 헬기(UH-60J)를 보유한 항공구난단 아키타구난대가 주둔하고 있다.[3] 또한, 아키타현경 헬기 "야마도리" 및 아키타현 소방방재항공대의 아키타현 방재 헬기 "나마하게" 등은 아키타구난대에 인접한 헬리포트를 사용하고 있다.
1993년 7월 5일 국제선 터미널이 개설되어 대한민국으로 가는 정기편 운항이 시작되었다.[13]
1996년에는 활주로 3,000m화가 결정되었지만, 경기 침체로 인해 국가 보조금을 기대할 수 없게 되자 2003년 아키타현은 현 단독으로 2,750m화를 실시하기로 방침을 정했다.[10][11] 그러나 공공사업 축소로 인해 다음 회계연도 예산에는 반영되지 않았다.[12]

국토교통성 국토지리원 [https://mapps.gsi.go.jp/ 지도·항공사진 열람 서비스]의 항공 사진을 바탕으로 작성
'''현 아키타 공항의 주요 연혁'''
연도 | 내용 |
---|---|
1981년 6월 26일 | 제2종 공항 신 아키타 공항, 가와베군 유와정(현 아키타시)에 개항. 2,500m×60m(10/28) 활주로 사용 개시. (구) 아키타 공항 폐쇄와 동시에 신 아키타 공항을 아키타 공항으로 개칭[13] |
1984년 10월 | 방위청(현 방위성)과 아키타현이 항공자위대 아키타 구난대의 설치 운영에 관한 협정을 체결 |
1987년 3월 31일 | 항공자위대 아키타 구난대 신설 |
1992년 | 국내선 증개축 |
1993년 7월 5일 | 국제선 터미널 건물 준공 |
2001년 10월 29일 | 국제 정기편(인천국제공항편) 취항 |
2004년 | 항공관제관 배치 |
2010년 9월 9일 | 입체 주차장 사용 개시 |
2012년 3월 25일 | 운영 시간이 22시까지 연장됨 |
2013년 4월 26일 | 국내선 터미널 2층 개조 공사 완료 |
2019년 3월 30일 | 국제 정기 전세편(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편) 취항. (1년간 한정)[34] |
2020년 3월 | 임시 주차장이 제3-2 주차장으로 확장 공사 후 사용 개시 |
2024년 4월 18일 | 터미널 공역 관제(시라카미 접근 관제구) 도입.[35] |
2010년 9월에 입체 주차장을 증축하여 총 4곳 2,232대(장애인용 25대 포함) 규모의 주차장이 되었다. 입출차 시간은 6:00~22:15이다.[41]
3. 시설
주차장 종류 가능 대수(장애인용 포함) 비고 입체 주차장(4층 5단) 955대(8대) 높이 2.1m, 무게 2.0톤 초과 차량 주차 불가 제1-1 주차장(구 제1(동측) 주차장) 220대 적설 시 겨울철 폐쇄 제1-2 주차장(구 제1(서측) 주차장) 309대(17대) 제2 주차장 278대 적설 시 대수 제한 제3-1 주차장 465대 제3-2 주차장(구 임시 주차장) 878대 적설 시 대수 제한, 이용 제한 있음 대형차 등 주차장 상기 이외 차량 8대
시내버스, 택시 등 37대이륜차는 여기에 주차, 전용 창구에 신청
자세한 내용은 아키타 공항 주차장 안내 (아키타현 공식 웹사이트)를 참조. 2017년 6월 26일부터 사전 정산기 이용자 전용 출구 및 우선 주차 공간이 마련되었다.[42] 입체 주차장 서쪽 출구와 제1 주차장 남쪽 출구가 전용 출구가 되며, 입체 주차장 서쪽 출구 근처가 우선 주차 공간이다. 단, 우선 주차 공간은 예약 절차 등이 필요하다.
3. 1. 터미널
여객터미널은 활주로 남쪽에 국내선 청사와 국제선 청사 2개 동이 나란히 위치해 있다. 탑승교는 국내선 청사에 2개, 국제선 청사에 1개를 갖추고 있다.[36] 아키타 공항 터미널 주식회사(秋田空港ターミナルビル株式会社)가 운영하며, 지상 3층 건물이다.
개항 당시에는 국내선 터미널만 있었고, 국제선 터미널은 한국과의 정기 항공편 개설에 대비하여 나중에 국내선 터미널 옆에 건설되었다. 2층에 양쪽 청사를 잇는 통로가 있다.
2013년 4월 26일, 국내선 터미널 2층의 개보수 공사가 완료되어 판매점 지역이 확장되어 “오미야게 광장 아에루(おみやげ広場あ・えーる)”로 리뉴얼 오픈되었으며, 디지털 사이니지 등이 설치되었다. 실물 크기의 간토제 설치와 벽과 기둥 일부에 아키타 삼나무(天然秋田杉)를 사용하여 아키타의 특징을 연출하고 있다.
'''1층'''
'''2층'''
'''3층'''
'''기타'''3. 2. 활주로
동북지방에서는 가장 빨리 2,500m 활주로를 정비한 공항이었다.
활주로는 10/28 방향으로 2,500m이며, 활주로 전체에 걸쳐 평행 유도로를 갖추고 있다. 착륙대의 폭은 300m이며, 계기 착륙에 대응하고 있다. ILS는 활주로 28에 카테고리 I가 설치되어 있다.
활주로 서쪽 에이프런 지역(항공자위대의 아키타분둔기지)에는 1987년부터 항공구난부대로서 수색구난 제트(U-125A)와 구난 헬기(UH-60J)를 보유한 항공구난단 아키타구난대가 주둔하고 있다. 또한, 아키타현경 헬기 "야마도리" 및 아키타현 소방방재항공대의 아키타현 방재 헬기 "나마하게" 등은 아키타구난대에 인접한 헬리포트를 사용하고 있다.
1996년에 활주로 3,000m화가 각의 결정되었지만, 불경기로 인해 국가 보조금을 기대할 수 없게 되자 2003년 아키타현은 현 단독으로 2,750m화를 실시하기로 방침을 정했다.[10][11] 그러나 공공사업 축소로 인해 다음 회계연도 예산에는 반영되지 않았다.[12]
3. 3. 기타 시설
여객터미널은 활주로 남쪽에 국내선 청사와 국제선 청사 2개 동이 나란히 위치해 있으며, 탑승교는 국내선 청사에 2개, 국제선 청사에 1개를 갖추고 있다.[36] 아키타 공항 터미널 주식회사(秋田空港ターミナルビル株式会社)가 운영하며, 지상 3층 건물이다.
2010년 9월에 입체 주차장을 증축하여 총 4곳 2232대(장애인용 25대 포함) 규모의 주차장이 되었다. 입출차 시간은 6:00~22:15이다.[41]
주차장 종류 | 가능 대수(장애인용 포함) | 비고 |
---|---|---|
입체 주차장(4층 5단) | 955대(8대) | 높이 2.1m, 무게 2.0톤을 초과하는 차량 주차 불가 |
제1-1 주차장(구 제1(동측) 주차장) | 220대 | 적설 시 겨울철 폐쇄 |
제1-2 주차장(구 제1(서측) 주차장) | 309대(17대) | |
제2 주차장 | 278대 | 적설 시 대수 제한 |
제3-1 주차장 | 465대 | |
제3-2 주차장(구 임시 주차장) | 878대 | 적설 시 대수 제한. 이용 제한 있음 |
대형차 등 주차장 | 상기 이외 차량 8대 시내버스, 택시 등 37대 | 이륜차는 여기에 주차. 전용 창구에 신청. |
자세한 내용은 [https://www.pref.akita.lg.jp/pages/archive/48613 아키타 공항 주차장 안내](아키타현 공식 웹사이트) 참조. 2017년 6월 26일부터 사전 정산기 이용자 전용 출구 및 우선 주차 공간이 마련되었다.[42]
4. 운항 노선
아키타 공항에는 여러 항공사가 국내선과 국제선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전일본공수와 일본항공은 도쿄(하네다)행 노선을, ANA 윙스는 나고야(주부), 삿포로(신치토세), 오사카(이타미)행 노선을 운항한다. 홋카이도 에어 시스템은 삿포로(오카다마)행[4], J-에어는 오사카(이타미)행, 오리엔탈 에어 브리지는 나고야(주부)행[5] 노선을 운항한다. 국제선으로는 타이거 항공 타이완이 타이베이(타오위안)행[6]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항공사가 2개사 이상인 경우, 가장 앞에 있는 항공사의 항공기와 승무원이 운항하는 코드셰어이다.
과거에는 대한항공이 서울(인천) 노선을 운항했었지만, 여러 차례 운휴한 이력이 있다.[49] 원동항공도 타이베이(타오위안) 노선을 운항했었지만 2019년 12월부터 운휴 중이다.[55]
4. 1. 국내선
항공사 | 목적지 |
---|---|
일본항공일본어 | 도쿄(하네다), 오사카(간사이) (전세편) |
전일본공수일본어 | 도쿄(하네다) |
ANA 윙스일본어 | 나고야(주부), 삿포로, 오사카(이타미) |
오리엔탈 에어 브릿지일본어 | 나고야(주부)[5] |
홋카이도 에어 시스템 | 삿포로(오카다마)[4] |
J-에어 | 오사카(이타미) |
4. 2. 국제선
대한항공은 계절편으로 서울(인천) 노선을 운항한다.[6]4. 3. 과거 운항 노선
항공사 | 목적지 |
---|---|
전일본공수 | 도쿄 하네다, 니가타 |
ANA 윙스 | 나고야 주부, 오사카 이타미, 삿포로 신치토세 |
홋카이도 에어 시스템 | 삿포로 오카다마[4] |
J-에어 | 오사카 이타미, 나고야/고마키 |
일본항공 | 도쿄 하네다 전세편: 오사카 간사이 |
오리엔탈 에어 브리지 | 나고야 주부[5] |
타이거 항공 타이완 | 타이페이 타오위안[6] |
아이벡스 항공 | 오사카/이타미 |
중일본항공서비스 | 하코다테 |
에어닛폰 | 후쿠오카 |
오사카/간사이, 나하 | |
대한항공한국어 (일본항공일본어[47][48] 및 델타 항공영어과의 코드셰어편) | 인천국제공항[49] |
원동항공중국어 |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55] |
5. 교통
아키타 공항은 아키타 시가지에서 약 20km(25분) 거리에 있으며, 가장 가까운 역은 오우 본선의 와다역이지만 교통편은 좋지 않다.
5. 1. 버스
5. 2. 택시
- 아키타 에어포트 라이너 (각 방면에 따라 킹택시, 유자와택시, 추센택시, 조가타합동택시가 각각 담당)[58]
- * 아키타 시내, 아키타현의 현오, 현남 각 방면으로 운행한다.
- 스카이 액세스 (아키타 중앙 트랜스포트)[59]
- * 아키타 시내로 운행한다.
- 요코테 WARP (요코테시)[60]
- * 요코테역 서쪽 출구와 아키타 공항을 운행한다.[61] 이용 요금은 300JPY이다.[61]
- * 2024년 7월 18일에 운행을 시작했다.[61]
5. 3. 자가용
일본해 동북 자동차도 아키타 공항IC, 아키타 자동차도 아키타미나미IC, 쿄와IC에서 각각 자동차로 10분 거리에 있다.- 아키타 시가지(일반 도로): 아키타비 라인 경유
- 다이센시(일반 도로): 국도 13호선, 국도 341호선, 아키타 현도 319호 유와쿄와 선, 아키타 현도 326호 아키타 공항 동선 경유
6. 사건 및 사고
- 2007년 1월 6일, 아키타 공항에 착륙하던 대한항공 769편 항공기가 활주로가 아닌 유도로에 착륙하는 사건이 발생했다.[66]
- 2007년 1월 6일, 인천국제공항을 출발하여 아키타 공항으로 향하던 대한항공 소속 보잉 737-900 항공기가 기장과 부기장의 실수로 활주로 남쪽 평행 유도로를 활주로로 잘못 인식하여 유도로에 착륙했다. 다행히 유도로를 주행하는 다른 항공기는 없어 사고로 이어지지는 않았고, 탑승객과 승무원 133명 모두 부상 없이 무사했다. 하지만 "폐쇄된 활주로 착륙"에 준하는 상황이었기에 중대한 항공 사고로 분류되어 일본 국토교통성 항공·해상운수사고조사위원회의 조사를 받았다. 조사 결과 당시 시정은 10km 정도의 양호한 시계 상태였으며, 관제사의 항공기 지원에 과실은 없었지만, 기장이 활주로를 시야에 확보한 시점에서 시각적인 접근으로 전환해야 했는데 계기 비행에 의존한 접근을 계속했기 때문에 오류를 수정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다.[62][63]
- 2013년 11월 16일, 사이타마현의 혼다 에어포트에서 아키타현으로 항공 측량을 위해 출발한 혼다항공 소속 소형 세스나기가 유리혼조시 상공에서 촬영을 마치고 노다시 상공으로 이동 중 엔진 고장으로 구 아키타 공항 활주로 터에 불시착했다. 기체는 약간 파손되었지만 부상자는 없었다. 이는 비행 중 엔진이 지속적으로 정지한 사건으로 중대한 항공 사고로 분류되어 일본 국토교통성 항공·해상운수사고조사위원회의 조사를 받았다. 조사 결과 엔진 진동으로 호스가 엔진 본체의 하우징에서 분리되어 윤활유가 누출되었고, 윤활유 부족 상태로 운행을 계속한 결과 엔진이 손상되어 불시착 직전에 엔진이 정지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다.[64][65]
7. 통계
아키타 공항은 개항 이후 1996년까지 이용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여 144.9만 명에 달했으나, 1997년 아키타 신칸센 개통으로 인해 감소세로 전환되었다. 2000년 이후에는 110만~130만 명 수준의 이용객 수를 유지하고 있다.[13] 2014년에는 국내선 1,199,081명, 국제선 29,055명이 이용했다.[14] 이 중 도쿄 노선 이용객이 약 65%를 차지한다.
연도 | 노선 | 여객 수 | 좌석 이용률 | 국내선 순위 | 출처 |
---|---|---|---|---|---|
2022년 | 도쿄 국제공항 | 597,491명 | 54.0% | 40위 | [15] |
2018년 | 도쿄 국제공항 | 829,802명 | 65.9% | 34위 | [16] |
2014년 | 도쿄 국제공항 | 774,736명 | 56.0% | 36위 | [17] |
2013년 | 도쿄 국제공항 | 770,351명 | 55.2% | 35위 | [18] |
2012년 | 도쿄 국제공항 | 765,654명 | 51.8% | 30위 | [19] |
2011년 | 도쿄 국제공항 | 780,460명 | 70.0% | 26위 | [20] |
2010년 | 도쿄 국제공항 | 705,072명 | 61.5% | 33위 | [21] |
2009년 | 도쿄 국제공항 | 710,491명 | 54.7% | 33위 | [22] |
2008년 | 도쿄 국제공항 | 804,321명 | 59.6% | 33위 | [23] |
2007년 | 도쿄 국제공항 | 863,052명 | 66.3% | 31위 | [24] |
2006년 | 도쿄 국제공항 | 872,459명 | 66.5% | 32위 | [25] |
2005년 | 도쿄 국제공항 | 904,550명 | 63.5% | 27위 | [26] |
2004년 | 도쿄 국제공항 | 931,268명 | 62.3% | 27위 | [27] |
2003년 | 도쿄 국제공항 | 946,639명 | 61.3% | 28위 | [28] |
2002년 | 도쿄 국제공항 | 930,253명 | 66.4% | 26위 | [29] |
2001년 | 도쿄 국제공항 | 949,070명 | 63.7% | 24위 | [30] |
2000년 | 도쿄 국제공항 | 857,601명 | 61.5% | 30위 | [31] |
1995년 | 도쿄 국제공항 | 973,913명 | [32] |
7. 1. 이용객 수
연간 이용객 수는 개항 이후 1996년도 144.9만 명에 달할 때까지 매년 증가세를 보였으나, 1997년 아키타 신칸센 개통을 기점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2000년 이후로는 110만~130만 명의 이용객 수를 유지하고 있다.[13] 2014년도에는 국내 1,199,081명, 국제 29,055명이었다.[14] 이용객 중 도쿄 노선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65%이다.연도 | 노선 | 여객 수 | 좌석 이용률 | 국내선 순위 | 출처 |
---|---|---|---|---|---|
2022년 | 도쿄 국제공항 | 597,491명 | 54.0% | 40위 | [15] |
2018년 | 도쿄 국제공항 | 829,802명 | 65.9% | 34위 | [16] |
2014년 | 도쿄 국제공항 | 774,736명 | 56.0% | 36위 | [17] |
2013년 | 도쿄 국제공항 | 770,351명 | 55.2% | 35위 | [18] |
2012년 | 도쿄 국제공항 | 765,654명 | 51.8% | 30위 | [19] |
2011년 | 도쿄 국제공항 | 780,460명 | 70.0% | 26위 | [20] |
2010년 | 도쿄 국제공항 | 705,072명 | 61.5% | 33위 | [21] |
2009년 | 도쿄 국제공항 | 710,491명 | 54.7% | 33위 | [22] |
2008년 | 도쿄 국제공항 | 804,321명 | 59.6% | 33위 | [23] |
2007년 | 도쿄 국제공항 | 863,052명 | 66.3% | 31위 | [24] |
2006년 | 도쿄 국제공항 | 872,459명 | 66.5% | 32위 | [25] |
2005년 | 도쿄 국제공항 | 904,550명 | 63.5% | 27위 | [26] |
2004년 | 도쿄 국제공항 | 931,268명 | 62.3% | 27위 | [27] |
2003년 | 도쿄 국제공항 | 946,639명 | 61.3% | 28위 | [28] |
2002년 | 도쿄 국제공항 | 930,253명 | 66.4% | 26위 | [29] |
2001년 | 도쿄 국제공항 | 949,070명 | 63.7% | 24위 | [30] |
2000년 | 도쿄 국제공항 | 857,601명 | 61.5% | 30위 | [31] |
1995년 | 도쿄 국제공항 | 973,913명 | [32] |
7. 2. 운항 노선별 여객 수송 실적 (2022년)
년도 | 노선 | 여객 수 | 좌석 이용률 | 국내선 순위 | 출처 |
---|---|---|---|---|---|
2022년(레이와 4년) | 도쿄 국제공항 | 597,491명 | 54.0% | 40위 | [15] |
참조
[1]
웹사이트
Akita Airport
http://www.mlit.go.j[...]
Japanes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2017-01-07
[2]
웹사이트
AIS Japan
https://aisjapan.mli[...]
2011-07-22
[3]
웹사이트
JASDF Order of Battle
http://www.j-hangars[...]
2016-12-10
[4]
웹사이트
JAL Group Sapporo – Akita NW23 Service Changes
https://www.aerorout[...]
2023-10-13
[5]
웹사이트
Oriental Air Bridge Adds Nagoya and ATR42-600 Service in NS23
https://www.aerorout[...]
2023-01-23
[6]
웹사이트
Tigerair Taiwan Tentatively Schedules Akita Dec 2023 Launch
https://www.aerorout[...]
2023-08-14
[7]
뉴스
秋田空港:記念行事 こども航空教室や制服試着会を開催
2014-06-23
[8]
문서
秋田空港滑走路に関する記述
[9]
문서
秋田空港跡地に関する記述
[10]
뉴스
秋田空港滑走路 250メートル延長へ 県単独、84億円試算
2003-07-15
[11]
뉴스
秋田空港 滑走路3000メートル化断念
2003-07-15
[12]
뉴스
新年度予算化見送り 秋田空港滑走路延長 公共事業の削減で
2004-01-31
[13]
웹사이트
秋田空港
https://www.cab.mlit[...]
国土交通省東京航空局
2015-09-17
[14]
간행물
管内空港の利用状況概況集計表(平成26年度速報値)
https://www.cab.mlit[...]
国土交通省東京航空局
[15]
웹사이트
航空輸送統計年報の概要 令和 4 年度(2022 年度)分
https://www.mlit.go.[...]
2023-09-26
[16]
웹사이트
平成30年航空輸送統計(暦年)の概況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9-11-08
[17]
웹사이트
平成25年航空輸送統計(暦年)の概況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5-09-30
[18]
웹사이트
平成25年航空輸送統計(暦年)の概況について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15-09-30
[19]
웹사이트
平成24年航空輸送統計(暦年)の概況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5-09-30
[20]
웹사이트
平成23年(暦年)航空輸送統計速報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12-11-23
[21]
웹사이트
平成22年(暦年)航空輸送統計速報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12-11-23
[22]
웹사이트
平成21年(暦年)航空輸送統計速報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12-11-23
[23]
웹사이트
平成20年航空輸送統計速報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12-11-23
[24]
웹사이트
平成19年航空輸送統計速報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12-11-23
[25]
웹사이트
平成18年航空輸送統計速報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12-11-23
[26]
웹사이트
平成17年航空輸送統計速報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12-11-23
[27]
웹사이트
平成16年航空輸送統計速報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12-11-23
[28]
웹사이트
平成15年航空輸送統計速報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12-11-23
[29]
웹사이트
平成14年航空輸送統計速報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12-11-23
[30]
웹사이트
平成13年航空輸送統計速報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12-11-23
[31]
웹사이트
平成12年航空輸送統計速報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12-11-23
[32]
뉴스
利用者133万 過去最高に 昨年の秋田空港 前年を7.6%上回る
1996-01-19
[33]
웹사이트
秋田空港
https://www.cab.mlit[...]
国土交通省東京航空局
[34]
뉴스
台湾定期チャーター便の就航祝う /秋田
2020-03-31
[35]
웹사이트
進入管制区を指定する告示等を一部改正する告示(国土交通省令和六年告示第一九八号)
https://kanpou.npb.g[...]
官報
2024-03-25
[36]
문서
[37]
웹사이트
秋田空港「釣りキチ三平・山魚女群泳」
http://jptca.org/pub[...]
[38]
웹사이트
秋田空港ラウンジがリニューアル 面積2倍超、あすオープン
https://www.sakigake[...]
秋田魁新報
2023-02-22
[39]
뉴스
コロナ打撃、「杉のや」閉店 秋田空港で40年郷土の味提供
https://www.sakigake[...]
秋田魁新報
2021-10-24
[40]
뉴스
秋田空港「杉のや」跡に郷土料理店 「わっぱめし」も提供
https://www.sakigake[...]
秋田魁新報
2021-10-24
[41]
웹사이트
秋田県空港管理条例の一部を改正する条例 秋田県公報号外第1号 - 秋田県条例第68号
http://www.pref.akit[...]
2011-12-27
[42]
웹사이트
秋田空港駐車場 事前精算機利用者専用出口・優先駐車スペースのお知らせ
http://www.akita-air[...]
秋田空港
[43]
문서
[44]
문서
[45]
문서
[46]
웹사이트
https://www.traicy.c[...]
[47]
웹사이트
JAL、大韓航空の日韓線全便でコードシェアを開始 4月22日より
http://www.traicy.co[...]
2014-04-21
[48]
웹사이트
JAL、大韓航空とコードシェア拡大 日本/韓国全路線が対象に
http://flyteam.jp/ne[...]
2014-04-21
[49]
뉴스
大韓航空:秋田−ソウル便再開 観光行事集中、冬季「回復」見込む
2012-10-28
[50]
웹사이트
韓国便(大韓航空)運航再開のお知らせ
http://www.akita-air[...]
秋田空港ターミナルビル株式会社
2011-05-02
[51]
웹사이트
秋田-ソウル定期便を再開 大韓航空
http://www.kahoku.co[...]
河北新報 ONLINE NEWS
2014-09-13
[52]
웹사이트
秋田-ソウル便が再開 MERSで一時運休
http://www.kahoku.co[...]
河北新報 ONLINE NEWS
2015-09-04
[53]
뉴스
秋田魁新報
2015-12-01
[54]
뉴스
ソウル便運休3年、再開見通し立たず 知事「台湾へシフト」
https://www.sakigake[...]
秋田魁新報
2018-12-04
[55]
웹사이트
秋田・台湾国際線定期チャーター便就航セレモニーを開催しました
http://www.akita-air[...]
秋田空港
2019-03-30
[56]
웹사이트
遠東航空の運航停止について
http://www.akita-air[...]
2019-12-13
[57]
웹사이트
リムジンバス時刻表
http://www.akita-chu[...]
[58]
웹사이트
あきたエアポートライナー
http://www.airportli[...]
[59]
웹사이트
スカイアクセス
http://www.bus-taxi.[...]
[60]
웹사이트
秋田空港-横手ウェルカムシャトル よこてWARP
https://www.city.yok[...]
横手市
2024-07-17
[61]
뉴스
横手ー秋田空港間300円、送迎車“WARP”運行開始 乗客「とても便利」
https://www.sakigake[...]
秋田魁新報社
2024-07-18
[62]
웹사이트
航空重大インシデントの概要
http://jtsb.mlit.go.[...]
運輸安全委員会
[63]
웹사이트
航空重大インシデント調査報告書 AI2008-01
https://www.mlit.go.[...]
運輸安全委員会
2008-11-28
[64]
웹사이트
航空重大インシデントの概要
http://jtsb.mlit.go.[...]
運輸安全委員会
[65]
웹사이트
航空重大インシデント調査報告書 AI2015-03
https://www.mlit.go.[...]
運輸安全委員会
2015-04-23
[66]
뉴스
KAL기, 日 아키타 공항 유도로에 잘못 착륙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7-0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